카테고리 없음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 해왕성

우주의 마술사 2023. 7. 15. 01:05

해왕성-사진

 

해왕성에 대하여

 

드디어 태양계의 마지막 행성인 해왕성에 대해서 알아볼 차례입니다. 그런데 여러분은 해왕성이 얼마나 멀리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시나요? 해왕성과 태양의 거리는 천왕성과 태양의 거리보다 1.5배나 멀리 떨어져 있습니다. 천왕성도 멀리 있는데 이것보다 훨씬 멀리 있다니 상상이 안 가시죠? 오늘은 해왕성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해왕성의 역사

 

태양에서 해왕성까지의 거리는 평균 약 45억 km입니다. 이는 빛의 속도로 4시간 10분이 걸리는 거리입니다. 해왕성은 너무나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지구에서는 눈으로 관측할 수가 없습니다. 프랑스의 수학자인 위르뱅 장 조제프 르베리에가 수학적 계산으로 해왕성을 최초로 발견하였습니다. 르베리에는 천왕성의 궤도에서 이상한 움직임을 발견하고, 새로운 행성의 존재를 예측했습니다. 이후 독일의 천문학자 요한 갈레가 르베리에의 계산을 바탕으로 해왕성을 찾았고, 해왕성의 존재를 관측하였습니다. 보이저 2호는 최초로 해왕성을 방문한 우주선인데, 해왕성에 도달하기까지 무려 12년이나 걸렸습니다.

 

해왕성의 특징

 

해왕성은 태양계의 8번째 행성으로, 기체형 행성으로 분류됩니다. 해왕성은 태양계에서 네 번째로 큰 행성이며, 지구보다 57배나 크며 지구의 17배가량의 질량을 가지고 있습니다. 해왕성의 공전주기는 165년 입니다. 해왕성은 푸른색을 띠고 있는데, 이 푸른색은 해왕성의 대기 중 메탄 가스 때문입니다. 메탄 가스는 태양빛의 빨간색을 흡수하고, 파란색을 반사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해왕성의 표면 온도는 영하 229도까지 떨어집니다. 해왕성의 대기압은 지구의 17배에 달합니다. 해왕성의 대기는 수소와 헬륨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왕성에는 14개의 위성이 있습니다. 가장 큰 위성은 트리톤입니다. 트리톤은 해왕성의 반대 방향으로 공전하고 있습니다.

해왕성은 3층 대기 구조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3층은 얕은 메테인 얼음층이 존재합니다. 2층은 짙은 연무층이 있으며 메테인과 황화수소로 이루어진 구름이 있습니다. 황화수소로 인해 천왕성과 마찬가지로 썩은 계란냄새가 난다고 합니다.

해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바람이 많이 부는 행성입니다. 해왕성에는 지구에서도 관측이 되는 강력한 폭풍이 있습니다. 해왕성 흑점이라고 불리는 고기압성 폭풍입니다. 이 폭풍은 시속 2100km 이며 목성의 대적점이 시속 643km 인것과 비교하면 무려 3배나 강력합니다.

해왕성과 천왕성은 대기 성분이 비슷하며 얼음 행성으로 분류되지만 날씨가 정반대입니다. 또한 해왕성의 특별한 점은 바람이 반대로 분다는 것입니다. 대부분의 바람은 행성이 자전하는 방향으로 불게 되는데, 해왕성의 자전과 반대 방향으로 바람이 붑니다. 이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고 합니다.

 

인간이 해왕성에 간다면 어떻게 될까?

 

해왕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먼 행성이므로 도착하는 데까지 어마어마한 시간이 걸릴 것입니다. 대부분의 기체형 행성들은 강력한 방사능을 내뿜고 있기 때문에 튼튼한 우주선에 탑승해야 할 것입니다.
해왕성은 태양빛을 거의 받지 못하므로 매우 추운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온몸이 얼어붙어버릴 것입니다. 또한, 해왕성의 대기에는 메탄가스가 많아서 인간이 해왕성에 가면 폐에 손상을 입을 수 있습니다.
해왕성의 날씨가 매우 사납기 때문에 대기에 진입한 순간 강력한 바람과 마찰열에 의해 우주선이 산산조각 나버릴 것입니다.

 

해왕성의 연구

 

1989년 NASA의 탐사선 보이저 2호가 해왕성에 도착하여, 해왕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보내주었습니다. 보이저 2호는 해왕성의 대기, 위성, 고리 등을 관측하고, 해왕성의 대기 중에는 메탄, 암모니아, 수소, 헬륨 등이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해왕성은 아직도 많은 부분이 미스터리로 남아 있습니다. 해왕성의 대기에는 아직도 알려지지 않은 기체들이 존재합니다. 해왕성의 내부 구조는 아직도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 해왕성의 위성들도 아직까지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